앞의 시도를 통해서 RecurDyn / eTemplate의 Helper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감을 잡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https://taerocha.wixsite.com/mysite/forum/hangugeo/recurdyn-etemplatereul-hanbeon-sayonghae-bolgga
복잡한 모델에 들어가기 앞서 간단한 모델로 내가 원하는 목적인 다수의 접촉 모델링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더 알아 본다.
간단한 모델은 아래와 같이 정의 했다.

보이는 바와 같이 위에 U1, U2 두개의 물체가 있고, 아래 L1, L2, L3 세개의 물체가 있다.
U1, U2가 각각 L1, L2, L3에 접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목표다. 접촉은 총 6개가 될 것이다. 접촉은 Geo Contact을 사용할 것이다.
앞의 시도에서 Helper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알았으니, Helper로 가보자.
Main에서 Contact, Geo Surface 순으로 버튼을 눌렀다. 이때 결과는 아래와 같다.

뭔가 많이 있는데, 내게 필요한 정보는 맨 마지막 줄에 있고, 그 중에서도 파란색 부분이 필수이며, 나머지 부분은 옵션인 것을 이제 알았다.
앞의 첫 시도에서 사용한 엑셀 파일을 다시 열어서 Template_Format 부분은 그대로 사용하고,
Template_Data 부분만 수정했다.
수정은 역시 위 그림에 있는 Helper에서 파란 부분만 복사해서 붙여 넣기 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Name을 정할 때 엑셀의 텍스트 함수 기능을 아래와 같이 사용해서 자동으로 다른 이름이 생기게 했다.
=CONCATENATE("Contact_Between_",C2,"_and_",D2)
짠, 바로 Run 들어 간다.
@@ 이런!!! 에러다.

내용을 보아하니 두번째 행에 무언가 잘못 되었다고 하는 것 같다. 그럼 뭐가 맞는 거지??? Help를 찾아 보아야 겠다. 헬프에서 Geo contact 관련 부분을 찾아 보았는데, 가장 정보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곳이 Example로 보인다. http://www.functionbay.co.kr/documentation/onlinehelp/default.htm#!Documents/example282.htm
그런데, 여기서 어느 예제가 Geo contact을 사용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 하나씩 일일이 열어 보기도 뭐해서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본다. (여기 예제에 사용한 것들에 대한 정보가 적혀 있으면 훨씬 편할 것 같다.)
다른 방법이 생각났다. eTemplate에 기록하는 것은 결국 RecurDyn의 GUI에 있는 내용과 동일 형식을 따를 것이다. 내가 지금 입력 한 것이 BaseGeometry와 ActionGeometry 뿐인데, 여기서 에러가 난다는 것은 여기 형식이 틀렸다는 것이다.
그럼 맞는 형식이 뭔가?
RecurDyn에서 GUI를 이용해 Geo contact을 달아 봤다.
그리고, 생성한 Geo contact의 property를 열어 보면 아래와 같다.

ㅋㅋ 답은 명확 하다. 여기에 적힌 내용을 보면
U1.Ellipsoid1, L1.Ellipsoid1 와 같은 형식을 사용하는데, 나는 엑셀에서
U1, L1 의 형식을 사용했고, 이것이 에러의 원인 이리라. ㅋㅋㅋ 바로 엑셀 수정 들어 간다.
수정한 엑셀은 아래와 같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또 .Ellipsoid1 을 계속 입력해야 하는 귀차니즘의 발현으로 다시한번 엑셀의 텍스트 함수를 사용했다.
=CONCATENATE(F2,H2)
=CONCATENATE(G2,H2)
그런데, 여기서 텍스트 함수 사용시 주의 해야 하는 것이 있었다.
Name 부분에 위에서 사용한 =CONCATENATE("Contact_Between_",C2,"_and_",D2) 를 그대로 사용하면, 또 에러가 발생한다.
이유는 리커다인의 Name 입력 형식에서는 도트(.) 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Name 부분의 텍스트 함수도 아래와 같이 변경 했다.
=CONCATENATE("Contact_Between_",F2,"_and_",G2)
자~~ 다시한번 Run 해보자.

성공이다. ㅋㅋ
물론 아직 옵션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옵션으로 정의 하지 않은 부분은 어차피 리커다인 GUI에서 모델링 할 때 생성되는 기본 값으로 생성이 되기 때문에 생성후 수정이 가능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200개 정도의 접촉을 달아야 하는 내 모델에서는 이 정도만 사용해도 시간을 훨씬 절약 할 것 같다.